지역 언론의 위기는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지역 여론 형성과 정보 전달, 민주주의 실현이라는 공적 기능의 약화를 뜻한다. 최근 국제신문이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고 인수합병을 추진하며 회생을 모색하는 과정은, 지역신문이 처한 현실과 동시에 회복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서론
부산의 대표 지역지인 국제신문은 오랜 경영난 끝에 법원의 기업회생 절차 개시 결정을 받았다. 이는 단순한 구조조정이 아니라, 경영 정상화를 위한 인수합병이라는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동반하는 과정이다. 자력으로 존립이 어려운 현실에서 국제신문은 M&A를 통해 새 주인을 찾고, 지역 언론으로서의 기능을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본론
국제신문은 지난 12월, 전·현직 임직원 147명의 채권자 자격으로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였고, 5개월 만인 2025년 5월 21일 부산회생법원이 이를 받아들였다. 현재 국제신문은 체불임금과 미지급 퇴직금 등 공익채권 포함 약 100억 원 규모의 회생계획안을 마련 중이며, 인수합병을 통해 이를 해결할 계획이다.
이미 상장사를 포함한 6곳이 인수 의향을 보인 상황이며, 일반공개입찰을 통해 자금력 있는 인수자를 확보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하지만 회생계획 인가를 위해서는 최대 채권자인 능인불교선양원의 동의가 필수적이다. 특히 국제신문은 능인선원이 2006년 이후 100% 지분을 보유한 대주주로 경영 전반에 깊이 관여해 왔으며, 이로 인해 수백억 원의 부채가 발생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현재 국제신문은 법원이 선임한 관리인(CRO) 체제 아래 운영되고 있으며, 경영정상화까지는 여전히 긴 여정이 남아 있다. 급여 체불, 퇴직금 미지급, 4대 보험과 세금 체납 등 심각한 재정난 속에서도 구성원들은 지역 언론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결론
국제신문의 기업회생과 M&A 추진은 단순한 구조조정이 아니라 지역언론 생존을 위한 절박한 시도다. 비록 지금은 위기의 한복판에 있지만, 적절한 인수자 확보와 투명한 경영 개선이 이뤄진다면 국제신문은 다시금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언론으로 거듭날 수 있다. 국제신문의 재도약은 지역 언론 전체의 미래와도 맞닿아 있기에, 그 회생 여부에 지역사회 전체의 관심과 성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참고링크
https://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58621
국제신문, M&A로 회생하나… 상장사 등 6개 기업서 인수 관심 - 한국기자협회
법원이 기업회생 절차 개시를 결정함에 따라 국제신문은 인수합병(M&A) 과정을 밟아 정상화에 나선다. 국제신문은 26일 오후 사원총회를 열어 자력으로 존립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M&A를
www.journalist.or.kr
'최신 M&A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킨푸드, 구다이글로벌에 인수! 인수가격과 시장 반응 총정리 (6) | 2025.05.31 |
---|---|
M&A 절벽에 갇힌 스타트업…투자·회수 모두 막혔다 (3) | 2025.05.30 |
대선 앞둔 증시, 지주사·은행주에 쏠리는 투자자의 눈길 (5) | 2025.05.29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그 후, 얼라이언스 약화 (0) | 2025.05.27 |
호반건설, 한진칼 지분 18.46% 확보 이유는? 경영권 분쟁 가능성 분석 (1)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