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M&A 정보

LG화학 재무구조 요약: CAPEX 확대·사업·지분 매각 가능성(LG에너지솔루션 지분·현금확보·비주력 매각)

s0-cute 2025. 7. 14. 18:22
반응형

최근 LG화학이 높아진 재무 부담 속에서 현금 확보를 위한 전략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연결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대규모 투자와 회사채 발행으로 인해 재무건전성이 급격히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LG화학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비주력 사업을 정리하고, LG에너지솔루션 지분 매각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있다.


재무부담의 시작: LG에너지솔루션의 공격적 투자

LG화학의 재무 부담은 주로 LG에너지솔루션의 대규모 투자와 차입에서 비롯된다.

  • 2023년 자본적지출(CAPEX): LG화학 연결 기준 13조 원 이상
  • 2024년 CAPEX 추정치: 약 14.8조 원
  • LG에너지솔루션의 주요 투자: 미국 애리조나 공장 신설 등

이에 따라 LG화학의 2024년 1분기 기준 연결 총차입금은 29.4조 원, **차입금의존도는 30.9%**로 상승해 재무건전성이 눈에 띄게 악화되었다.


LG화학, 영업이익만으로는 자금 충당 어려워

  • EBITDA(상각전영업이익):
    • 2022년: 6조4867억 원
    • 2023년: 5조5992억 원으로 감소
  • 주요 원인:
    • 석유화학 부문 부진 (중국 공급 과잉 + 수요 위축)
    • LG에너지솔루션의 전기차 수요 둔화 및 배터리 단가 하락

현금 확보 전략 1: 비주력 사업 매각

LG화학은 ‘전지소재·친환경·신약’을 3대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이에 해당하지 않는 비주력 사업들을 매각해 현금을 확보하고 있다.

매각 대상거래처양도가액양도 시점
진단사업부 글랜우드PE 약 1500억 원 2023년 10월
편광판·소재 사업 중국 산진옵토·신메이 약 1.1조 원 2023년 12월
수처리 필터 사업 글랜우드PE 약 1.4조 원 2024년 말 예정
 

향후에는 NCC 자산, 반도체 소재, 에스테틱 부문 등도 매각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현금 확보 전략 2: LG에너지솔루션 지분 일부 매각 가능성

LG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 지분 81.84%**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지분 일부 매각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 기존 구주매출 사례: 2022년 LG에너지솔루션 상장 시 구주 일부 매각
  • 최근 움직임: LG에너지솔루션 주식을 교환대상으로 한 EB(교환사채) 발행
    • 교환 대상 주식 수: 약 667만 주 (LG엔솔 지분의 3.48%)

이처럼 LG화학은 지배력 유지를 전제로 하되 일부 지분을 유동성 확보에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마무리: LG화학의 전략적 선택

LG화학은 향후 신사업 중심으로 재편하면서 재무 건전성 확보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비주력 사업 매각과 전략적 지분 조정을 통해 현금 유동성과 성장 여력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앞으로 LG화학의 추가 매각이나 LG에너지솔루션 관련 지분 조정 여부에 따라 기업가치와 투자 판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꾸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참고 키워드: LG화학 재무건전성, LG에너지솔루션 투자, 비주력 사업 매각, 수처리 필터, 편광판 사업, 교환사채(EB), 지분 매각


참고 링크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6201524417520102315

 

[캐시플로 모니터]재무건전성 지켜라…LG화학 비주력사업 매각 속도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반응형